×

그린키퍼 뉴스

환경 울프리카의 경고, 녹아내리는 도로…폭염에 무너지는 도시 인프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7-10 09:59

본문

20250710%EC%9D%B4%EB%AF%B8%EC%A7%80012.png


20250710%EC%9D%B4%EB%AF%B8%EC%A7%80011.png


20250523501953.jpg


20250710%EC%9D%B4%EB%AF%B8%EC%A7%80010.png


20250710%EC%9D%B4%EB%AF%B8%EC%A7%80009.png


20250710%EC%9D%B4%EB%AF%B8%EC%A7%80008.png


1890fef3c7c5454f4.jpg


20250710%EC%9D%B4%EB%AF%B8%EC%A7%80007.png


20250710%EC%9D%B4%EB%AF%B8%EC%A7%80006.png


20250710%EC%9D%B4%EB%AF%B8%EC%A7%80005.png


20250710%EC%9D%B4%EB%AF%B8%EC%A7%80004.png


197e8a3c1de4f4dce.jpg


rcv.YNA.20250615.PYH2025061505640001300_P1.webp



news-p.v1.20250707.e8674c6528814f799f94199158b4bfcf_P1.webp


연일 이어지는 폭염이 울산을 덮치고 있다.
이제는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라는 별명이 울산에도 붙었다.
울산의 도로 곳곳이 마치 녹은 아이스크림처럼 흐물흐물해지고, 노란 차선은 휘어지거나 사라졌다.
일부 아스팔트는 하수구까지 흘러내리며 본래의 형태를 잃었다.
버스정류장에 몇 분만 서 있어도 머리가 지끈거리고, 강아지 산책조차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시민들의 하소연이 이어진다.
이처럼 울산은 '울프리카'라는 신조어로 폭염의 심각성을 실감하고 있다.

이번에 발생한 도로 변형은 '소성변형'이라는 현상 때문이다.
석유를 원료로 하는 아스팔트는 고온에 노출되면 물러지고, 대형 차량이 반복적으로 지나가면 도로가 솟아오르거나 꺼진다.
특히 버스 차고지나 대형 화물차가 자주 다니는 구간에서 심각한 변형이 확인됐다.
울산시는 민원이 집중된 구간의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내부를 보강해 재포장하는 긴급 보수에 나섰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울산의 낮 최고기온은 35도, 대구는 37도까지 치솟았고, 체감온도는 33~35도를 넘나든다.
온열질환자도 급증해 울산 지역만 50명이 발생했다.
바닥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밤에도 식지 않는 열대야, 그리고 도로 위의 위험까지 시민 건강과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한편, 과거 대프리카로 불리던 대구는 도시 평균 온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2,3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도시숲 조성, 옥상 녹화, 하늘정원 사업, 도로 표면 온도를 낮추는 클린로드 시스템 등 첨단 기술과 자연 기반 해법을 결합했다.
그 결과 2000년대 이후 대구의 여름 최고기온은 30년 전보다 평균 1.2도 낮아졌다.
도시의 숲은 햇빛을 차단하고, 수분 증발로 열을 흡수해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울산의 도로가 녹아내리는 모습은 단순한 불편함이 아니라, 기후위기의 경고다.
앞으로 우리는 어떤 도시, 어떤 삶을 만들어가야 할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울산의 선택이 주목된다.


https://youtu.be/0zKEjR09q0c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그린키퍼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광주, 아00471 등록일 2023년 9월 13일 발행인 김찬식 편집인 김찬식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연락처 010-8233-8864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